
카우아이섬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단순한 지역 사회 조사 그 이상으로, 인간 발달과 회복탄력성(resilience)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 사회과학의 대표적인 종단연구(longitudinal study) 중 하나입니다. 이 연구는 특히 아동기 환경이 성인기의 삶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어려운 환경에서도 성공적으로 성장하는 아이들의 비밀을 밝혀내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연구 개요장소: 미국 하와이 제도 북서부의 카우아이섬(Kauai)시작 시점: 1954~1955년대상: 1955년에 태어난 신생아 833명 전원연구 목적: 개인의 성장 과정에 있어 건강 상태, 가정환경, 사회적 환경이 성인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주요 연구자: 캘리포니아 대학 심리학자 에미 워너(Emmy Werner)연구의 전개 및 주..

성공을 결정짓는 단 하나의 힘, 그릿(Grit)– 타고나는 게 아니라 훈련되는 힘그릿이란 무엇인가요?그릿(Grit)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심리학자 앤젤라 더크워스(Angela Duckworth) 교수가 제시한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그릿은 열정(Passion)과 끈기(Perseverance)를 가지고 장기적인 목표를 끝까지 추구하는 힘이다.”IQ, 재능, 환경보다도 ‘얼마나 오래, 얼마나 꾸준히 포기하지 않고 버티는가’가 성공의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것이 그녀의 연구 결과입니다.그릿은 훈련 가능한가요?많은 사람들이 “난 원래 끈기가 없어…”라고 말하지만, 더크워스 교수는 말합니다:“그릿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의식적 노력과 훈련을 통해 충분히 길러질 수 있는 습관이다.”즉, 그릿은 ‘성격’이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헤크먼 교수가 말하는 ‘소프트 스킬’의 힘– 능력은 점수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1. 소프트 스킬이 뭐길래, 경제학자가 주목했을까?우리는 흔히 시험 점수, 학력, IQ 같은 '인지 능력(Cognitive Skills)'을 성공의 기준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 시카고대 제임스 헤크먼(James Heckman) 교수는 이런 통념에 의문을 던졌습니다.그가 주장하는 핵심은 이것입니다:“사람의 성공은 IQ보다도 인내심, 동기, 자제력 같은 ‘소프트 스킬(비인지 능력)’에 더 크게 좌우된다.”2. 헤크먼 교수는 누구인가요? 시카고 대학교 경제학과 석좌 교수 2000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 (경제학적 실증 분석 방법론 개발) 교육·사회정책·노동시장 분야에서 세계적 석학 특히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