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도울까?A. “다문화 가정 자녀, 차별 아닌 자산입니다”– 언어·감정·학습·자존감 문제와 4가지 해결 방안 총정리2024년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35만 가구의 다문화 가정이 있으며, 구성원 수는 1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다문화 출생아 수는 전체 출생률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우리 사회의 일원이 될 텐데요, 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고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려면 우리가 함께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그렇다면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을까요? 또, 이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다문화 자녀들이 흔히 겪는 문제 네 가지와 그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
A. 학생과 신뢰를 만드는 마법의 질문 12가지“아이의 마음을 여는 건 정답이 아니라, 따뜻한 질문입니다.”교실에서 아이들과 소통하다 보면 종종 이런 고민이 생깁니다.“이 아이는 왜 나와 말을 하려 하지 않을까?”“무엇이 이 아이를 힘들게 하는 걸까?”“어떻게 하면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정답은 의외로 간단할 수 있습니다. 바로 ‘질문’입니다.그것도 정보만 얻으려는 질문이 아니라, 아이의 마음을 듣기 위한 질문 말이죠.오늘은 학생들과의 신뢰를 쌓는 데 효과적인 ‘마법의 질문 12가지’를 소개합니다.이 질문 하나면 교실이, 아이가, 그리고 나 자신이 달라집니다.1. “오늘 있었던 일 중에서 가장 좋았던 일은 뭐야?”하루를 돌아보게 만드는 질문입니다. 긍정적인 기억을 나누며 아이는 자신의 일상에 교사가 관..
초등 중학년, 스스로 공부하는 힘을 기를 시간이에요 3~4학년 아이의 자기주도학습, 이렇게 시작해 보세요초등학교 1~2학년을 지나 이제 중학년이 된 우리 아이들.언제 이렇게 자랐나 싶을 만큼 한층 의젓해지고, 어휘도 풍부해지고, 생각도 깊어졌지요.이 시기는 아이가 '공부를 시켜야 하는 아이'에서'스스로 공부하려는 아이'로 자라는 골든타임이에요.오늘은 3~4학년 아이들이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따뜻한 실천 방법 7가지를 소개할게요.1. “왜 공부해야 할까?” 함께 생각해 보기이제는 단순히 "공부해!"라고 말하기보다공부의 이유를 함께 나눌 수 있는 시기예요.“좋아하는 게임을 만들려면 어떤 공부가 필요할까?”“나중에 하고 싶은 일을 하려면 뭘 배워야 할까?”이런 질문을 함께 나누다 보면아이 마..
그릿(Grit)을 키우고 싶다면 기억해야 할 5가지성공하는 사람들의 비밀, 포기하지 않는 힘“쟤는 원래부터 잘했잖아.”“나는 꾸준히 못 해. 끈기가 없어.”혹시 이런 말, 한 번쯤 해보셨나요?하지만 ‘타고난 재능’보다 더 강력한 게 있습니다.바로 그릿(Grit),쉽게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힘이죠.미국 심리학자 앤절라 더크워스는 이렇게 말합니다.“성공은 재능보다 그릿에 더 많이 좌우된다.”그릿은 ‘열정’과 ‘끈기’의 조합이며,누구나 연습을 통해 키울 수 있는 성장 가능한 능력입니다.그렇다면 그릿을 키우고 싶을 때,반드시 기억해야 할 5가지는 무엇일까요?1. ‘왜 이걸 하고 싶은가’부터 분명히 하자단순히 ‘잘하고 싶다’는 마음만으론 오래 가지 못합니다.그릿이 강한 사람들은 목적이 뚜렷합니다.자신의 목..
목표 달성과 창의적 사고를 위한 최고의 도구, 만다라트 기법이란?혹시 “목표는 많은데 정리는 안 되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생각 해본 적 있으신가요?머릿속은 복잡한데 막상 손에 잡히는 게 없어 답답할 때, 생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구체적인 실행 계획으로 연결할 수 있는 아주 강력한 도구가 있습니다. 바로 ‘만다라트 기법(Mandal-Art)’입니다.1. 만다라트 기법이란 무엇인가요?만다라트(Mandal-Art)는 일본의 디자이너 이마이즈미 히로아키가 고안한 생각 정리 및 목표 설정 도구입니다.‘만다라(Mandala)’는 불교의 수행 도구로 사용되는 그림이고, ‘아트(Art)’는 말 그대로 예술을 의미합니다. 이 두 단어가 합쳐진 ‘만다라트’는 생각을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아이디어를 확..
교실 속 문제 행동, 유형별로 이렇게 대응해 보세요!수업을 방해하거나 친구와 다투고,교사의 지시에 반응하지 않는 아이들…교실에서 문제 행동은 끊이지 않습니다.하지만 아이들의 행동 뒤에는 늘 무언가 말하고 싶은 마음이 숨어 있습니다.그 신호를 어떻게 읽고,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오늘은 교실 속에서 자주 일어나는 문제 행동을 유형별로 나누고,각각에 맞는 현명하고 따뜻한 대응법을 소개해 드릴게요.1. 수업 중 계속 떠드는 아이유형 키워드: 주목받고 싶은 마음, 충동 조절 부족 이렇게 해보세요사적 대화로 조용히 따로 불러 이야기합니다.“혹시 수업 중에 이야기하고 싶은 게 많았던 이유가 있을까?”주의를 환기할 기회 제공예: 수업 중 퀴즈 발표, 발표 리더 맡기기 등으로 ‘건강한 주목’을 유도규칙 재확인: 수업 ..
새로운 영어 회화 공부 3> "Did you~?" 패턴 예문 100개 + 해석Did you eat? | 밥 먹었어요?Did you sleep well? | 잘 잤어요?Did you call me? | 저한테 전화했어요?Did you see that? | 그거 봤어요?Did you hear it? | 그거 들었어요?Did you go there? | 거기 갔어요?Did you meet him? | 그 사람 만났어요?Did you study today? | 오늘 공부했어요?Did you finish it? | 그거 끝냈어요?Did you like it? | 그거 마음에 들었어요?Did you text me? | 저한테 문자했어요?Did you bring it? | 그거 가져왔어요?Did you talk to..
하브루타하브루타 시리즈 10> "AI 시대, 가장 인간적인 공부법이 필요하다" – 하브루타와 미래교육의 만남AI 시대, 질문하는 아이가 미래를 만든다 – 하브루타와 미래교육의 결정적 만남인공지능이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시험 문제도 척척 푸는 시대입니다.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아이를 길러야 할까요?정답은 간단합니다.기계보다 더 인간다운 아이.암기된 지식이 아니라, 질문하고 소통하고 창조하는 아이.그리고 그런 아이를 키워주는 교육법이 바로 하브루타입니다.하브루타하브루타하브루타1. AI 시대, 교육은 어디로 가야 할까?AI는 이미 우리의 일상을 깊숙이 파고들고 있습니다.챗봇이 글을 쓰고, 검색엔진이 정보를 요약해 주는 시대.단순한 지식은 더 이상 경쟁력이 되지 않습니다.오히려 새로운 문제를 정의하고, 다..
진로 심리 검사와 직업·학과 검색, 어디서 시작할까?믿을 수 있는 6가지 추천 사이트 총정리!학생, 학부모, 교사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하는 질문이 있죠.“어떤 진로가 나에게 맞을까?”,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 할까?”, “진로 심리 검사는 어디서 받아야 할까?”이런 고민을 덜어주는 공신력 있는 진로 정보 사이트들을 소개합니다. 심리 검사부터 학과 정보, 체험 프로그램까지, 한눈에 확인해 보세요!1. 커리어넷 (www.career.go.kr)운영기관: 교육부 지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국가진로교육센터주요 기능:진로심리검사: 적성검사, 가치관검사, 진로성숙도검사, 흥미검사 등직업 및 학과 정보, 진로 관련 동영상, 진로교육자료 제공무료 검사 가능 (회원가입 없이도 일부 검사 이용 가능)추천 포인트:나의 성..
교사의 말을 따르지 않는 아이들, 꾸짖기보다 마음을 여는 것이 먼저입니다!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않고,교사의 말에 반응하지 않으며,계속 딴짓을 하거나 툭툭 말을 던지는 아이들.선생님이 수업을 이끌어가기도 전에,말을 듣지 않는 아이들과 마주할 때 우리는 좌절감을 느낍니다.하지만 이런 행동 뒤에는 언제나 감춰진 이유와 메시지가 있습니다.오늘은 ‘교사의 말을 따르지 않는 아이들’을 어떻게 바라보고,어떻게 관계를 회복해갈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보려 합니다.1. 아이는 이유 없이 반항하지 않습니다"왜 말을 안 듣지?""왜 수업을 방해하지?"이 질문 뒤에는 보이지 않는 감정과 상황이 숨어 있을 수 있어요.집에서 겪는 정서적 불안 (부모 갈등, 외로움 등)친구 관계에서의 상처자존감 부족,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