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리 프리스쿨(Perry Preschool Project)
페리 프리스쿨(Perry Preschool Project)

페리 프리스쿨(Perry Preschool Project)

페리 프리스쿨(Perry Preschool Project)


1. 학문적 배경

▪ 목적

1960년대 미국에서는 인종·계층 간 교육격차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조기교육이 저소득층 아동에게 어떤 장기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여 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 이론적 기반

  • 진보주의 교육 철학(Progressive Education): 존 듀이(John Dewey)의 영향으로, 아동 중심·경험 중심 학습을 지향.
  • 피아제(Piaget), 비고츠키(Vygotsky) 등의 인지발달 이론: 유아기 아동은 경험을 통해 능동적으로 학습함을 강조.
  • HighScope 교육철학: 아동의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을 중시하며, 계획-실행-반성(Plan-Do-Review) 과정을 중심으로 학습 구조를 설계.

2. 프로그램 구성

1) 교육 활동

  • 반일제 수업: 매일 오전 2.5시간
  • 소그룹 학습과 개별 활동 중심
  • 교사가 수업을 주도하기보다, 아동이 스스로 활동을 선택하고 계획하게 함

2) 가정 방문

  • 주 1회 가정 방문: 교사가 아동의 부모와 상담하며 가정 내 교육환경 개선 유도
  • 가정-학교 연계가 핵심

3) 교사 자격

  • 모두 학사 이상의 교육전문가로 구성
  • 유아 발달, 놀이 기반 학습에 대한 전문 훈련 이수

3. 연구 설계 및 방법

  • 실험군: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 58명
  • 통제군: 참여하지 않은 유사 조건 아동 65명
  • 무작위 배정(Random Assignment)을 통해 실험군과 통제군 구성
  • 이후 40년 이상 추적 조사(1962년생 ~ 2003년경까지)

4. 경제적 효과 분석 (James Heckman 등)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제임스 헥먼(James J. Heckman)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경제적 수익률이 밝혀졌습니다:

항목 효과

투자 대비 수익률 (ROI) 연평균 약 7~10%
1달러 투자 시 사회적 수익 $7~$12
사회적 비용 절감 범죄 예방, 복지 지출 감소, 의료비 감소 등

→ 특히, 비인지적 능력(성격, 자기조절, 사회성)의 향상이 장기적 성과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됨.


5. 주요 성과 (장기 추적 결과 요약)

범주 실험군 통제군 차이

고등학교 졸업률 77% 60% +17%
월 $2,000 이상 소득 60% 40% +20%
복지 수령률 15% 32% -17%
범죄 연루율 36% 55% -19%
주택 소유율 37% 28% +9%

6. 교육학 및 정책적 의의

  • 조기 개입(Early Intervention)의 중요성 실증
  • 교육 불평등 해소를 위한 핵심 정책 도구 제시
  • 이후 미국의 Head Start, Pre-K 프로그램, OECD의 유아교육 정책 등에 직접적 영향을 줌
  • “학습은 단순한 인지 능력만이 아니라, 비인지적 요인에 의해서도 크게 좌우된다”는 교육 패러다임 변화 촉진

7. 비판 및 한계점

항목 내용

표본 수 참여 아동 수가 123명으로 다소 작음
지역 제한성 미시간 주 한 지역의 특수한 사례
시대적 맥락 1960년대 상황과 현재는 다소 차이 있음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방식의 유사한 연구(Abecedarian Project, Chicago Child-Parent Center 등)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반복적으로 입증됨.


결론

페리 프리스쿨 프로젝트는 조기교육이 아동 개인의 삶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복지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이고 과학적으로 입증한 획기적인 교육 실험입니다.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유아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정책적·학문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페리 프리스쿨(Perry Preschool Project)
페리 프리스쿨(Perry Preschool Project)